Oracle-bone-records-sacrificial-offering-of-500-oxen-before-a-military-attack.-Ox-scapula-or-tortoise-plastron-Yinxu-site-Anyang-Henan-Province-China-late-Shang-dynasty-c1200–1050-BC

권력의 속박에서 벗어나게 하는 해방의 감성, 美(미)

美(Beauty), A Liberating Force

 Text by 하영삼 Youngsam Ha
Translation by 클럼지 Clumsy

1.
한자에서 아름다움을 뜻하는 美(미)는 羊(양)과 大(대)로 이루어진 글자다. 갑골문시대부터 등장하니, 초기 단계에서부터 등장한 핵심 한자다. 이의 어원에 대해서는 ‘살찌고 큰(大) 양(羊)이 유용하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고, 원시 축제에서 ‘양가죽(羊)을 덮어쓰고 춤추는 사람(大)’을 아름다운 존재로 보았기 때문이라는 풀이도 있다.

羊은 ‘양’을 상징적으로 그린 글자로, 곡선 모양의 뿔을 특징적으로 표현했다. 양은 말, 소, 돼지, 개, 닭 등과 함께 6대 가축의 하나로 가장 일찍 가축화된 동물의 하나로, 수렵 단계의 원시인들에게 양은 특별히 중요한 존재였다. 양의 고기와 젖은 그들에게 양식을 제공했으며, 가죽은 추위를 막는데 최상품이었다. 더군다나 가축화한 양은 군집 생활을 하고 성질 또한 온순해 정착 농경시대에 접어든 인간의 입장에서 가축으로 기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동물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양은 일찍부터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이 때문에 한자에서 羊이 들어간 글자는 대부분 대단히 좋은 의미로 쓰인다. 예컨대 도덕(道德)의 지향점인 善(선)에도, 예술(藝術)의 과제인 美(미)에도, 서구의 진(眞)에 비견되며 동양 최고의 덕목으로 평가받았던 義(의)에도 羊(양)이 들어 있다. 모두가 길상(吉祥)의 최고 상징어들이다. 또 희생양(犧牲羊)이라는 말에서 보듯, 양은 신에게 지내는 제사 때 쓰는 가장 대표적인 제물이었다. 그리고 羊(양)에 제단을 뜻하는 示(시)가 더해지면 ‘상서롭다’는 뜻의 祥(상)이 된다. 가장 소중한 가축인 양을 제단에 올려 정성스레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반영했고, 이러한 정성에 보답이라도 하려는 듯 신이 내려주는 계시를 길조(吉兆)로 여겼고, 이로부터 ‘상서롭다’는 뜻이 생겼다.

여하튼 美(미)의 해석에서 이러한 상징을 가진 羊(양)에 대해선 이견이 없었지만, 大(대)에서 해석이 갈렸다. 大(대)는 원래 양팔을 벌리고 선 사람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사람’이 원래 뜻이다. 이것이 측면의 모습을 그린 人(인)과 대비되면서 ‘크다’는 뜻으로 쓰였으니, ‘큰 양’이나 ‘양의 가죽을 쓴 사람’, 모두 가능한 해석이다. 첫 번째 해석은 당시 양고기와 양의 젖은 긴요한 식량이고 가죽과 털은 중요한 옷으로 쓰였으니, 아름다움의 근원이 유용성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해석, 즉 축제의 중심에서 양가죽을 덮어쓴 사람이라면 양을 잡을 수 있는 존재, 그 사람이 바로 아름다운 사람, ‘美人(미인)’이었다. 양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족장 같은 사람이 양가죽을 쓰고 양뿔로 장식하고 자신의 힘을 뽐내는 축제의 장 또한 아름다움 자체였을 것이다.  전자는 미의 출발을 유용성에서 찾았고, 후자는 심미성에 초점을 두어 해석했을 뿐이고 이 두 해석이 대립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大(대)가 갖는 고대 중국에서의 의미를 감안할 때, 어원적으로는 두 번째 해석이 첫번째보다 가까워보인다. 그러나 원시시대의 주술이나 축제는 더 나은 삶에 대한 갈망과 연결되었기에 유용한 것, 선한 것, 신성한 것이 다 같이 아름다운 것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이에 반해 인간에게 위협적이고 해로운 것은 추한 것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이것이 미(美)와 추(醜)의 구분점이 되었을 것이다.

‘호모 에스테티쿠스(homo aestheticus)’, 미를 즐기는 인간이라는 뜻이다. 그만큼 ‘아름다움’은 인간 공통의 보편적 속성이지 어떤 특정 계층의 전유물은 아니다. 그러나 막상 인간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미(美)가 무엇인지를 묻는다면 그것은 그리 간단하지도 쉽지도 않다. 미에 관한 학문인 ‘미학’에서도 미에 대한 정의가 시대에 따라 다르고, 이론가에 따라 달랐다. ‘아름다움’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꼈다. 서양에서 말하는 ‘미학 aesthetics’의 어원인 ‘아이스테시스 aisthesis’는 ‘이성과는 다른 감각적인 것’을 말한다. 하지만 미학이라 하면, 대부분 ‘감각적인 것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적 감각을 넘어서는 형이상학적인 관념이나 경험적 감각 아래에 깊숙이 깔려있는 오래된 무의식까지 포함’하는 것을 보면 ‘아름다움’은 그리 단순한 개념이 아니다.

From Oracle bone script to Chinese characters.
From Oracle bone script to Chinese characters.

2.
중국에서도 美(미)에 대한 해석은 시대에 따라 달라졌다. 최초의 어원사전인 설문해자(說文解字, A.D. 100)에서는 美(미)를 두고 甘(감)이라고 풀이했는데, 이는 이채로운 해석이다. 입속에 맛있는 무언가가 든 모습을 그린 것이 甘(감)이고, 이로부터 달다는 뜻이 나왔다. 설문해자가 만들어졌던 한나라 때에 이르면 ‘아름다움’의 개념이 이미 ‘양가죽을 덮어쓴 사람’이나 ‘큰 양’의 실용적 의미를 벗어나 ‘맛’이라는 미각으로 옮겨갔음을 보여준다. 즉 원시수렵시대 자신들의 생존을 담보해 줄 수 있었던 힘 센 영웅이 제공할 수 있는 ‘살찐 양’을 반영한 미(美)가 더 이상 생존을 위한 식량 자체를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맛’ 즉 음식의 질로 그 향유의 대상이 바뀌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것은 농경사회의 정착과 발달을 거치면서 엄청난 식량혁명을 이룬 덕택이었을 것이다. 시대에 따라 ‘아름다움’의 관점은 변한다.

美(미)의 의미가 유용함에서 맛이라는 질로 변했듯, 풍만함에 대한 인식도 시대를 따라 변했다. ‘요염함’을 뜻하는 艶 (염) 은 豊(풍)과 色(색)으로 구성되었는데, 豐은 신을 모시는 제사에 드리는 풍성한 제수를 말하고, 色은 성행위와 관련된 글자다. 이 둘이 결합한 艶(염)이 여성 최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단어가 된 것은 생산과 다산이 미덕이었던 농경사회라는 배경 때문이다. 거기서는 풍만한 여성이 ‘아름다움’의 상징이었기 때문이다. 당나라 미인 양귀비도 우리의 상상과는 달리 키도 크지 않고 날씬하지 않은 퉁퉁한 여인 그 자체로 그려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에 반해 날씬함을 뜻하는 瘦(파리할 수)는 병(疒)의 일종으로 인식되었다. 그럼에도 현대 여성들은 날씬해지는 것을 목숨처럼 아낀다. 현대 중국어에서 아름다운 여성을 표현하는 ‘苗条[苗條, miáo‧tiao]’는 苗(어린 싹 묘)이나 条=條(나뭇가지 조)처럼 호리 낭창한 신체와 그런 가늘고 늘씬한 몸매를 말한다.

說文解字, Shuowen Jiezi(A.D. 100)
說文解字, Shuowen Jiezi(A.D. 100)

3.
그렇다면, 정말 ‘미’가 시대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것이며, 그래서 믿을 수 없는 것일까?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간은 ‘아름다움’은 좀 더 고차원적인 관념을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피타고라스학파는 미가 “물질적인 대상의 형식 구조 속에 표현되는 자연의 객관적인 법칙”이라고 주장했고, 플라톤이나 헤겔의 경우는 미를 이데아의 현현이나 절대적 이념이 현상적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보았다.  이 때문에 문명이 좀 더 발달한 시대에서 예술의 정신은 美(미)보다는 詩(시)로 표현되었다. 시경(詩經)에 의하면 “뜻이 나아가는 바”, 그것이 바로 詩(시)라고 했다. 뜻이 心(마음 심)에 머물게 되면 志(뜻 지)가 되고, 뜻을 말로 읊어 표현하면 詩(시)가 된다. 詩(시)는 원래 言(말씀 언)과 之(갈 지)로 구성되어 ‘말의 나아감’, 즉 말로 이루어지는 예술을 의미했으나, 이후 그 구성이 言(말씀 언)과 寺(관아 사)로 변하면서, 말(言)을 법도에 따라서 관리하게 되면(寺) 시(詩)가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시(詩)의 아름다움은 한편에선 자연의 법칙을 구현한 것에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뜻(진리)이 표현된 말이기에 아름다운 것이 되었다.

한편, 서양의 ‘art’가 무엇인가를 만드는 기술이라는 뜻이듯이, 동양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藝(예)가 그런 뜻을 담았다. 물론 藝(예)가 ‘농작물을 심다’는 어원을 가져 농경사회에서 생존하게 할 기술이라는 환경을 반영했지만, 그것이 다 자란 나무가 아니라 묘목(屮)을 쥐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예술’이 단순한 기술과 오래되고 화석화된 관습의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창조함에 있음을 뜻했다 .

Beauty, 美, měi
Beauty, 美, měi

4.
미를 “감성에 의해 인식되는 최고의 것”으로 정의하여, 미가 학문으로서의 위상을 얻게 하는데 크게 공헌한 바움가르텐(Alexander G. Baumgarten)조차도 미가 변화하는 감성에 의거한 것이기에 명확한 지식과는 반대로, 혼란스러운 지성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적 판단은 혼란스러운 지성이 아니라, 기존의 지식을 혼란에 빠트릴 수 있는 잠재 능력의 발현이 아닐까. 우리는 꽃이 아름다워서 보는 것이지, 꽃이 주는 유용성 때문에 꽃을 아름답다고 여기지 않는다. 길가의 들꽃으로 인해, 우리가 어느 순간 가던 길을 멈추고 그 아름다움에 빠져드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우리가 인지할 수조차 없게 속박되어버린 자본이나 돈과 연결된 수많은 욕망과 그 이해관계, 그것을 벗어나 그들에 종속된 우리의 감각을 해방시켜주는 순간이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칸트는 미를 “지식 대상이나 욕망 대상에 연결된 감각 형식에서 해방된 무관심한 판단”이라고 했다. 바로 이러한 세속적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사물을 보고 느끼는 능력에서 세계를 변화시키고 창조하는 능력이 발아되는 것은 아닐까? 그것이 미(美)의 힘이다. 노자가 2천5백 년 전에 “세상 온갖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아름다움은 사실 아름다움이 아니다. 세상 온갖 사람들이 아름답지 않다고 생각하는 추함은 사실 추함이 아니다.”라고 말했듯, 인간의 미감은 우리를 길들이는 온갖 권력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해방의 씨앗을 담지하고 있다.

한송이 민들레꽃이 무지막지한 도심의 시멘트 도로, 그 좁은 틈 사이를 뚫고 나와 가장 빛나는 모습으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그 순간, 그것은 보잘 것 없는 잡풀이기를 멈추고 우리의 눈을 사로잡는 경이로운 ‘꽃’이 되어, 우리가 찌들어 있는 자본과 권력의 속박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게 해주는 해방의 감성과 희열을 선사한다. 그것이 바로 ‘아름다움’이 갖는 본질이자 세속적 이해관계 벗어나 세상 변화시키는 능력을 싹틔우는 지점이다.

Oracle bone script
Oracle bone script

1.
The Chinese character for beauty, 美, is composed of two parts; ‘羊 sheep’ and ‘大 large or human.’ It has appeared since the oracle bone (甲骨文) period and is one of the core Chinese characters that date back to the very early stage of the Chinese language. We can assume that this particular ideogram for beauty is made up of these two parts because they thought either that  ‘fat and large (大)  sheep (羊)’ were useful, or that ‘a person (大) wearing sheepskin (羊) and dancing’ at primitive festivals were beautiful.

羊 (Sheep) is a pictogram where curbed horns of a sheep can be “read.”  Sheep was one of the earliest domesticated animals, along with horses, cattle, pigs, dogs, and chickens, and was particularly important to primitive people in the hunting stage. The meat and milk of sheep provided great nutrition; the hides were the best protection against the cold. Moreover, domesticated sheep lead a community life and have a gentle temperament, making them the perfect animal to raise as livestock for humans who have entered the era of settled agriculture. For this reason, the ancient Chinese have loved sheep, and most Chinese characters with sheep 羊 in them mean something good and benevolent. For example, in a character for goodness 善, which is the pursuit of morality, in beauty 美, which is the major issue in art (藝術), and in righteousness 義, which is often compared to the Western concept of truth (眞) and used to be the highest virtue in the East, sheep 羊 is included. All of them are the supreme elements of auspiciousness in life. Furthermore, as seen in the word “sacrificial lamb 犧牲羊”, the lamb was the most representative sacrifice used in ancestral rites to the gods. And if sheep 羊 is added with an altar 示, it becomes ‘auspiciousness 祥.’ The sheep, the most precious livestock, were placed on the altar to reflect the sincere ancestral rite, and as if in return to such devotion, a revelation from God was regarded as an auspicious sign (吉兆). This is how the word ‘auspiciousness 祥’ is formed.

In the interpretation of beauty 美, the sheep part 羊 is pretty clear,  but the reading of “large (大) differed. Large (大) originally meant ‘person’ standing with arms outstretched. As this is used to indicate ‘large’ while contrasting with a person 人, which depicts the side of a person. So whether we take this letter as “large sheep” or “a person wearing sheepskin on the head,” both interpretations are not in contradiction.  Large sheep are useful, so beautiful; the person covered in sheepskin at the center of the festival can be considered a ‘beautiful being (美人).’ The one who wears sheepskin and adorned with sheep’s horns must have been an important figure like the chieftain in the tribe, and the festival venue that boasted such power must have been the beauty itself. The former found the origin of beauty in usefulness; the latter focused a bit more on aesthetics, if we need to differentiate. Primitive sorcery and festivals were associated with longing for a better life; the useful, the good, and the sacred would all be perceived as beautiful. On the other hand, anything that is harmful to humans would have been considered ugly, and this would have been the dividing point between beauty (美) and ugliness (醜).

‘Homo aestheticus’ means a human being who enjoys beauty. To that extent, ‘beauty’ is a universal attribute common to humans, not the exclusive property to any particular class. However, if we think of beauty (美) that anyone can enjoy, it is neither simple nor easy. The idea of beauty differed depending on time, place and people. In the West, the word ‘aesthesis,’ the etymology of ‘aesthetics,’ refers to ‘perception by the senses, not by reason.’ To make things more complicated, it not only refers to the sensuous but also includes metaphysical ideas that go beyond the empirical senses.

Large, 大, dà
Large, 大, dà
Sheep, 羊, yáng
Sheep, 羊, yáng
Person, 人, rén
Person, 人, rén

2.
Also in China, the concept of 美 (beauty) has changed over time. The first etymological dictionary, Shuowen Jiezi (說文解字, A.D. 100), interpreted beauty as 甘 (sweetness). 甘 (Sweetness) is a pictogram of something in the mouth; the meaning of sweetness originated from here. It demonstrates that the concept of ‘beauty’ had already moved away from ‘usefulness’ to ‘taste’ by the Han Dynasty when the Shuowen Jiezi was created. In other words, it shows the beauty (美) that was embodied in the form of ‘large sheep’ that a powerful hero wears is no longer based on the guarantee of survival by simply being fed, but the prospect of enjoyment, the taste, that is the quality of food.

Just as the idea of 美 (beauty) has changed over time, so does the perception of sexiness. The character 艶 which means exquisite sensual beauty is composed of abundance 豐 and color 色. Abundance 豐 refers to the abundant sacrifices offered to the gods; color 色 is a quality related to sexuality. The reason that sensual beauty 艶 is a combination of these two letters is that in an agricultural society, production and fertility were important values. Since voluptuous women were the symbol of ‘beauty,’ the Tang Dynasty beauty, Yang Guifei, was portrayed as a chubby woman, not tall and slim, contrary to our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paleness 瘦, meaning slim, was recognized as a kind of disease 疒. Nevertheless, modern women put their life on the line to be skinny. In contemporary Chinese, the word ‘苗条 [苗條, miáo‧tiao],’ which means a beautiful woman, refers to a slender body like a young bud 苗or branch 条=條.

許愼, Xu Shen
許愼, Xu Shen
說文解字, Shuowen Jiezi(A.D. 100)
說文解字, Shuowen Jiezi(A.D. 100)

3.
Since the concept of beauty is changing all the time, thus, confusing, is it not worth talking about or not reliable?  As civilization developed, humans believed that ‘beauty’ should contain a noble concept. The Pythagoreans argued that beauty is “the objective law of nature explained in the formal structure of material objects.” In the case of Plato and Hegel, beauty was regarded as the embodiment of an idea or an absolute ideal described phenomenally. For this reason, in the era of a more developed civilization, the spirit of art was indicated in the character 詩 which means poetry rather than 美 beauty. According to the Book of Odes, “the way the will goes” is called poetry. When the will stays in mind 心, it becomes aim (志), and when it is recited and expressed in words, it becomes 詩 (poetry). Poetry (詩) was initially composed of word (言) and progress (之) and meant the progress (之) of words (言). Namely, it describes art made of words. Afterward, the composition changed into word (言) and court (寺), and it was believed that if words were managed according to the law, they became poetry (詩). Therefore, the beauty of poetry (詩) lies in embodying the laws of nature on the one hand; words representing will (truth) have become beauty.

On the other hand, just as ‘art’ in the West means the art of making something, 藝 (art), which corresponds to this in the East, has that meaning. Of course, 藝 (art) had the etymology of ‘planting crops,’ reflecting the technology-environment that would make it possible to survive in an agricultural society. However, by figuring it out holding a sapling (屮) rather than a grown tree, it made it clear that ‘art’ is not in the repetition of simple techniques and old customs but in giving birth to something new.

Sweetness, 甘, gān
Sweetness, 甘, gān
Art, 藝, yì
Art, 藝, yì

4.
Even Alexander G. Baumgarten, who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chieving the status of beauty as a science by defining it as “the highest thing recognized by the sensibility,” explained that beauty is a chaotic intellect, as opposed to explicit knowledge because it is based on changing sensibility. However, aesthetic judgment may not be because of confused intelligence but expresses the potential to perplex existing knowledge. We see flowers because they are beautiful, but we do not find them attractive due to their usefulness. Could the reason we stop and fall in love with the beauty of wildflowers on the side of the roads be that it is the moment when our senses are liberated from numerous desires and interests connected with capital and money that own us beyond our awareness in a capitalist society?

Accordingly, Kant called beauty “an indifferent judgment freed from the form of the senses connected to the object of knowledge or the object of desire.” Isn’t the ability to change and create the world germinate from seeing and feeling things outside of these worldly interests? That is the power of beauty (美). Two thousand five hundred years ago, Lao Tzu said, “The beauty that everyone in the world thinks is beautiful is not actually beauty. The ugliness that everyone in the world considers not beautiful is actually not ugliness.” In this context, the human sense of beauty contains the seed of liberation that frees us from all kinds of power that tame us.

At the moment when a dandelion flower breaks through cracks of the city’s ruthless cement pavement and reveals itself in its most splendid feature, it ceases to be useless weeds, becomes this marvelous thing that catches our eyes and presents a sense of liberation and joy that free us from the bondage of capital and power for a moment. That is the essence of ‘beauty’; it is the point where you break free from terrestrial interests and nurture the ability to change and create.

Youngsam Ha 하영삼

Professor at Kyungsung University
Director of the Center for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경성대학교 교수
한국 한자연구소 소장

29737_16536_4516

RELATED POSTS

상호명: (주)더클럼지플랜  대표 : 박상미  사업자등록번호 : 205-88-02028  통신판매업신고 : 2022-서울용산-0190
사업장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199, 4층(이태원동) 문의 : 02 – 723 – 2973, info@thomasparkgallery.com
이용약관  정기과금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