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易): Change is the Key to Eternity
역(易): 변해야 영원할 수 있다
Text by Youngsam Ha 하영삼
Translation by Solha Kim 김솔하
3. 變 and 易
There are many Chinese characters that mean change, other than 易. There are 化, 改, 更, 換, 變. The character化 depicts a living person(人=亻) and a dead one(匕 huà), symbolizing the endless transformation between life and death. The character改 depicts scolding(攴=攵) a child(巳) with a stick to make a 'change,' and the character 更 describes the image of moving some object with the hand(又), signifying the 'movement or change' of location. In Shuowen Jiezi, 奐 is the image of a person standing on the tall cave house, so 換 would mean brining something home to 'change, exchange, transform.'
Among these characters, 變 is close to易, combining with it very easily, so its origin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Looking into the structure of 變, the lower part 攴(攵·to hit) gives the meaning and the lower part gives the sound, altogether meaning 'to change' by force(攴). As word/language(言) is not constant, it could change at any time, so this unreliability has been reflected in this character. From there, combined words as 變更(alter), 變化(change), 事變(incident) appeared. Characters with complex structures were abbreviated for example, from 䜌 to 亦, resulting in 変. In modern Chinese simplified characters, 攵 is reduced to又, resulting in 变.
The main signification of變 is known to have originated from the letter 攵(to force). However, the letter 言 seems to have had a more important function, in fact. When we look at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言 in their composition, they always describe something which is not constant, unreliable, a rather negative existence. Why such a tendency? This results from the belief that the letter言 is a depiction of a big bamboo flute, originating from musical 'sound' of an instrument, not from human language. Eventually, 言 in Chinese characters could not embrace the soul as the 'letters' do in Western civilization, perceived as variable and not trustworthy. This shows a contrast with the letter 文 which originates from making a scar with a knife in a corpse to separate the human's soul from its body, since it is used in the context of sublimity.
From this viewpoint, 易 or變 and most of the characters concerned with the meaning of change are not related with human or soul. They originate from the image and feature of an animal or object. This does not look very different from the etymology of the English 'change' which indicates 'to bend, to alter.'
4.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Change
As the important status of Book of Change reminds us, change in all beings in the universe is the everlasting truth. Is there anything in this world that does not change? Moreover in this current era where change is happening at an unimaginable speed, if you stay where you are and cannot change even for a moment, you would quickly become a loser and be ignored as a useless being.
If you look at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the areas of interest for survival and the objects of development have also changed constantly according to different times. In the beginning, the land on which we live was our main concern. The colonization and conquest of land, the struggle saga have occupied a long history of mankind. Then, having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land, expansion into another new realm, the sea, opened up another era. The true beginning must have been the history of the West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which commenced the Age of Exploration. At the time, people thought the ocean was much smaller and narrower than the land, but now, after more than 500 years, almost everything in the ocean has been examined through and through, thus there remains nothing unknown. In addition, the ownership of not only the territorial waters but also the resources in the sea has been almost settled. Expandability in the sea has almost reached its limit.
Where would we go from here? Where would we expand to? One idea is to leave the Earth and head toward the cosmos. The competition has begun, from the most nearest moon and Mars, and other planets in the solar system, to the endless unknown universe. Even though we do not know the least of their principle of life and death, we will compete each other in the attempt of exploring and ruling the unknown realm. Just like the Age of Exploration, just as they competed for wealth and empire by exploring the unknown world, power nations dreaming of an empire have now begun to run in the competition of exploration and development.
The other expansion we could talk about is the opening up of new realms in the world we live in. That is, the domain of networks, connections, and relations that are emerg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ry era. Peop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eople and things are connected, and now even things and thing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yper-connected networks are hereby available. Even posthumans declare that beings that are cut off from information, devices and connections already cannot qualify as existence.
Naturally in this context of the history of empires, whoever first occupied the new territory at this stage became the master of the new world. Expanding from the areas of land, sea, space, and connections.
5. Revolutionary, Creative Change
In our 21st century, the nation which dominates space and controls major networks will become the true empire. The key to such networks is the accumulation of data. Google, Amazon, Facebook, etc. have strived to collect, accumulate, analyze, and utilize such data, and this is probably why this era is called the DT(Data Technology) era. China is also taking the lead in getting even since the modern history of disgrace. With the effort of building a new empire through accumulation of big data via Baidu, Alibaba, WeChat and TikTok, China was able to establish intricate networks. Space station development was pioneered by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the two pillars of the Cold War since the 1950s but recently, China has also started their full-fledged space program 'Space Exploration' to explore and research space.
The radical change of the market, including such vast discourse, displays the rapid change of our paradigm. Overall changes have made offline market to go online, producer-oriented market to buyer-centered, educator-oriented education to consumer-based, and private ownership to sharing. Just a glance at YouTube, which has gained explosive popularity, would well explain the transition from the one-way communication of a large-scale broadcasting station to an era of mutual communication in which all individuals may become a broadcasting station. IT companies are leading all industries, sharing econom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come to the fore in the future industry. Now these companies are migrating toward the new world called metaverse. As observed in the change of Facebook's company name to Meta, humanity is now moving beyond the world we see and experience into a 'new world where virtual and reality are blended.'
In this sense, the phrase "change is the key to eternity" declared in the Book of Changes is more valid than ever. Not just simple change, but creative change is required. A revolutionary breakthrough that no one could have ever imagined. But such revolutionary and creative changes do not just fall from the sky. It is available only when reinterpretation takes place on the basis of tradition, past history, and previous wisdom. There is an Eastern saying 溫而知新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ld knowledge which would allow better acceptance of new knowledge.
1. 변해야 영원할 수 있다
동양 최고의 철학서 '주역周易'에는 이런 말이 있다.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영원할 수 있다.(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변화의 중요성을 이보다 더 웅변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변하지 않는 것은 죽음이요, 편하게 현실에 안주한다면 망하고 만다."는 경고이기도 하다. 인간을 비롯한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는 살아 있기에 변하기 마련이다. 변하지 않는 것은 생물이 아니다. 생물이라도 죽은 존재다. 이것은 상식이자 불변의 진리이다. '변화에 관한 책'이라는 의미를 가진 '주역'이 달리 경전으로 높여 '역경'이라 불리고, 그것이 동양 최고의 철학서가 된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2. 역(易)의 어원: 도마뱀
'변화'라는 개념을 한자에서는 어떻게 그려냈을까? 역(易)이 그것인데, 역(易)은 묘한 글자이이다. 역(易)에는 '바뀌다'는 뜻도 있지만, '쉽다'는 뜻도 있어 "변화가 어려움이 아니라 정말 쉬운 것임을, 그래서 두려워하지 말 것을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역(易)은 자형이 단순하고 상용자이기도 한데 그 어원은 의외로 분명하지 않아 논쟁이 많은 글자다. 그러나 요약하면 대략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도마뱀'이라는 설이다. A.D.100년에 완성된 중국 최고의 어원해설서인 허신(許愼, 약 58~약 147)의 '설문해자'에서 그렇게 주장했다. 당시 해설의 근거로 삼았던 소전체의 에 근거한 해석이다. "도마뱀(蜥易) 즉 언전(蝘蜓), 다시 말해 수궁(守宮)을 말한다. 상형이다."라고 하면서, 윗부분은 머리를, 아랫부분은 발과 꼬리가 함께 더해진 몸통을 그린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둘째, 역(易)은 일(日)과 월(月)의 구성으로 되었다는 설이다. 이 역시 허신의 시대에 이미 유행했던 것처럼 보이는데, 역(易)이 도마뱀을 그린 것이 아니라 일(日)과 월(月)의 상하결합으로, 해가 지고 달이 뜨며 달이 지고 해가 뜨듯 서로 '바뀌다'는 의미를 담았다는 주장이다. 아마도 한나라 당시 유행하던 서체인 예서체인 에 근거한 해설로 보인다.
셋째, 익(益)자와 같은 데서 나왔다는 설이다. 이는 갑골문 4대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곽말약(郭沫若, 1892~1978)의 주장인데, 금문에 보이는 익(益: 더하다)자인 과 의 줄임형이라는 주장이다. 그릇에 물을 '더하다(益)'는 뜻에서 '넘치다(溢)'는 뜻으로, 다시 '하사하다(賜)'는 뜻으로 연결되었고, '더하거나' '주는' 것은 모자라거나 없는 것을 넘치거나 있는 것으로 '바꾸게' 되므로, '바꾸다(易)'는 뜻이 나왔다고 했다.
이처럼 역(易)의 어원에 대한 해설은 여럿 있지만, 그래도 도마뱀을 그렸다는 전통적인 해설이 여전히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보호를 위해 쉽게 자신의 몸 색깔을 바꾼다는 뜻에서 '바꾸다'의 뜻이, 다시 '쉽다'는 의미가 나왔으며, 이후 의미가 더 구체화된 척(蜴: 잘 변신하는 동물)이 만들어졌으며, 나아가 석(錫: 주석, 황동을 청동으로 바꿈)이나 사(賜: 다른 재화로 바꾸어 쓸 수 있는 화폐를 하사함)나 척(惕: 변화를 두려워하는 심리)이나 척(剔: 칼로 도려내 모양을 바꿈) 등으로 변화를 내포한 의미를 가진 다양한 글자들이 생겨났다.
3.변(變)과 역(易): 변역(變易)
변화나 바꾸다의 뜻을 가진 한자는 역(易) 이외에도 여럿 있다. 화(化)도 있고, 개(改)도 있고, 경(更)도 있고, 환(換)도 있고, 또 변(變)도 있다. 화(化)는 산사람(人=亻)과 죽은 사람(匕 huà)을 그려 삶과 죽음 간의 끊임없는 '전화(轉化)'를 그렸으며, 개(改)는 아이(巳)를 회초리로 훈육하며(攴=攵) 다른 모습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그렸고, 경(更)은 손(又)으로 어떤 물체를 옮기는 모습을 그려 위치의 '이동이나 변경'을 말했고, 환(換)은 환(奐)이 '설문해자'의 해설처럼 "사람(人)이 높은 동굴 집(穴) 위에 서 있는 모습"임을 고려하면, 어떤 것을 집으로 가져와 '바꾸다', 교환하다, 변환하다는 의미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그중에서도 변(變)은 역(易)과 친밀하여 잘 결합하는 글자이기에 이의 어원도 눈여겨보아야 한다. 변(變)은 지금의 구조에서도 볼 수 있듯, 攴(攵·칠 복)이 의미부고 䜌(어지러울 련)이 소리부로, 강제하여(攴) '바꾸다'는 뜻인데, 말(言)은 항상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언제나 변하여 믿을 수 없는 것임을 반영했다. 이로부터 변경(變更)하다, 변화(變化)하다, 사변(事變) 등의 뜻이 나왔다. 구조가 복잡하여 약자에서는 련(䜌)을 역(亦)으로 줄여 변(変)으로 쓰기도 한다. 현대 중국의 간화자에서는 복(攵)을 다시 又(또 우)로 줄인 변(变)으로 쓴다.
변(變)의 주요 의미는 강제하다는 뜻을 갖는 복(攵)에서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사실은 언(言)이 더 중요한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한자에서 언(言)으로 구성된 글자들은 살펴보라. 이들은 언제나 '항상성을 지니지 못하며", 믿을 수 없는 것으로, 부정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그것은 언(言)이 큰 퉁소를 그렸고, 사람의 말이 아닌 악기의 '소리'에서 출발한데서 연유한다. 그 결과 한자에서 언(言)은 서구 문명에서의 '문자'처럼 영혼을 담지 못한 존재로, 가변적이며 믿을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사람의 영혼을 육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시신에 칼집을 낸 것에서 기원한다는 문(文) 자가 숭고한 의미를 지니는 글자로 사용되어 온 것과 대조를 이룬다.
이렇게 본다면 역(易)이나 변(變)은 물론 변화와 관련된 글자들이 대부분 인간이나 영혼과는 관계되지 않고 도마뱀이나 퉁소 등과 같은 사물의 형상과 특성에서 기원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변하다'는 뜻의 영어 'change'가 굽(히)다, 전환하다 등에서 출발한 것과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역(易)의 어원에 대한 해설은 여럿 있지만, 그래도 도마뱀을 그렸다는 전통적인 해설이 여전히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보호를 위해 쉽게 자신의 몸 색깔을 바꾼다는 뜻에서 '바꾸다'의 뜻이, 다시 '쉽다'는 의미가 나왔으며, 이후 의미가 더 구체화된 척(蜴: 잘 변신하는 동물)이 만들어졌으며, 나아가 석(錫: 주석, 황동을 청동으로 바꿈)이나 사(賜: 다른 재화로 바꾸어 쓸 수 있는 화폐를 하사함)나 척(惕: 변화를 두려워하는 심리)이나 척(剔: 칼로 도려내 모양을 바꿈) 등으로 변화를 내포한 의미를 가진 다양한 글자들이 생겨났다.
4.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변화
'변화에 관한 책'이라는 '역경(易經)'이 갖는 지위처럼, 천지만물의 변화는 불변의 도(道)이다. 이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있던가? 더구나 변화가 상상할 수 없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지금은 잠시라도 그 자리에 머물러 변화하지 못하면 순식간에 도태되고 무용의 존재로 전락해버리는 그런 시대이다.
인류 문명의 역사를 보면, 생존을 위한 관심 영역과 개척의 대상도 시대를 달리하며 끊임없이 변해왔다. 처음에는 우리가 발을 딛고 사는 이 땅, 즉 육지가 그 주된 대상이었다. 육지에 대한 개척과 정복, 그 투쟁사가 바로 인류의 기나긴 한 역사를 차지했었다. 그러다가 육지의 한계를 인식하고 다른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 즉 바다로의 확장이 또 다른 한 시대를 이끌었다. 15세기 말 대항해 시대를 열었던 서구의 역사가 이의 진정한 시발이었을 것이다. 당시에는 육지보다 훨씬 작고 좁은 영역이라 생각했던 해양이었지만, 5백여 년이 지난 지금은 해양의 거의 모든 것을 속속들이 파헤쳐 모르는 것이 없게 되었다. 또 해양의 영역은 물론 해양에 존재하는 자원의 소유권까지도 거의 정리된 상태이다. 그 영역의 확장성은 거의 한계에 다다랐다.
이제 어디로 나갈 것인가? 어디로 확장할 것인가? 그중 하나가 바로 이 지구를 벗어난 우주이다. 가까운 달부터 화성을 비롯한 태양계의 여러 행성들, 나아가 끝도 없는, 생성과 소멸의 원리조차 잘 알려지지 않는 저 미지의 우주, 그곳을 탐험하고 개척하며 지배하려는 경쟁이 시작되었다. 마치 대항해 시대, 앞 다투어 미지의 세계를 탐험해 재부와 제국을 세웠던 것처럼, 제국을 꿈꾸는 대국들이 이의 탐사와 개발에 경쟁적으로 뛰어든 것이다.
다른 방식의 확장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안에서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개척이다. 즉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두되는 네트워크, 연결망, 관계에 대한 영역이다.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었고,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었고, 이제는 사물과 사물이 서로 연결되는 초연결망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포스트 휴먼(posthuman)도 정보나 기기와 연결이 배제된 존재는 이미 존재가 아님을 천명한다.
그래서 제국의 역사를 보면 이러한 단계에서 누가 먼저 새로운 영역을 앞서 점령하느냐가 새로운 세계의 주인이 되었다. 육역(陸域)에서, 해역(海域)으로, 다시 우주역(宇宙域)으로, 그리고 연결역(連結域)으로 확장하면서 말이다.
5. 혁명적, 창의적 변화
21세기가 된 지금, 우주를 선점하고 연결망을 지배하는 자가 진정한 제국이 될 것이라 본다. 그 연결망은 데이터의 축적이 관건이다. 구글이나 아마존이나 페이스북 등이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축적하며 분석하고 활용하는데 사활을 걸었고, 이 시대를 DT(데이터 테크놀로지)시대라 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중국도 바이두나 알리바바, 위쳇과 틱톡 등을 통한 빅데이터의 축적과 이를 통한 미세한 연결망의 구축을 통해, 근대 이후의 치욕의 역사를 설욕하고 새로운 제국이 되기 위해 이 대열에 앞장서고 있다. 우주역의 개척은 1950년대 이후 냉전시대의 두 축이었던 구소련과 미국에 의해서 주도되었지만 최근, 중국도 '우주굴기'라는 이름으로 의 우주에 대한 탐험과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같은 거대 담론을 포함한 시장의 급격한 변화는 패러다임의 빠른 변화를 보여준다.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으로의 변화, 생산자 중심의 시장에서 구매자 중심의 시장, 교육자 중심의 교육에서 소비자 중심의 교육, 개인 소유에서 공유로의 변화 등 변화는 전면적이다. 폭발적 인기를 얻고 있는 유튜브만 보아도 기존의 대형 방송국이라는 일방적 통신에서 개인 모두가 방송국이 되는 상호 통신의 시대로 전이한 것을 말해준다. 아이티 기업들이 모든 산업을 선도하고, 공유경제와 인공지능이 미래 산업의 전면에 올라왔고, 이제 이들은 다시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세계로 옮겨가고 있다. 페이스북의 사명을 메타로 고친 것에서도 볼 수 있듯, 이제 인류는 우리가 보고 경험하는 세계를 넘어서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새로운 세계'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주역'에서 선언했던 "변해야 영원할 수 있다"라는 말은 그 어느 때보다 유효하다. 변화도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창의적 변화가 필요하다. 그 누구도 생각지 못했던, 혁명적인 창발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혁명적 창의적 변화가 그냥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전통, 과거의 역사, 이전의 지혜의 바탕 위에서 재해석할 때 가능하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옛 것을 데워서 새로운 것으로 만든다는 동양의 고사가 그것을 웅변해 준다.
Youngsam Ha
Professor at Kyungsung University
Director of the Center for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하영삼
경성대학교 교수
한국 한자연구소 소장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