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Image: Oracle bone script

Tattooed on Your Chest: The Character 文
가슴에 새겨진 최초의 글자, 文

Text by Youngsam Ha 하영삼
Translation by Solha Kim 김솔하

1.
In Chinese characters, the character 文(meaning writing, script, or culture) is a very important one. This character is included in the words such as humanities 人文 and astronomy 天文, culture 文化 and civilization 文明, literary people 文人 and civil governance 文治, which are all important notions in human history. In the dictionary, humanities would be defined as the study of 'human and culture' but when you come to think of astronomy being the study of 'all phenomena occurring in the universe,' humanities would encompass the study of 'everything that happens in the human world.' That is, all the events that humans experience while living their life, hence the study of all the reasons governing the world of humans. This is why the humanities curriculum is the foremost in university faculties.

Modern times' translation(from English to Chinese) coined the word 文化 from 'culture' with its etymology as 'cultivate,' as well as the word 文明 from 'civilization' which means 'to become a city dweller.' Literally analyzing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form these newly coined words, culture 文化 would mean 'reforming the world with the mind of humanities' and civilization 文明 would mean 'brighten the world with the mind of humanities.' In the East, people with such missions are called literary people 文人, and ruling a country based on such ideas is called civil governance 文治.

As such, the character 文 is a lofty letter. Originating from the tattoo 文身, the character 文 has evolved to be a part of words like letter 文字, sentence 文章 and literature 文藝, and even went on to reach humanities 人文. What factors would have carved this path for the character 文?

Letter, 文

2.
In the greatest ancient Chinese dictionary Shuowen Jiezi, completed in AD100, it is explained that the character 文 signifies "to cross the stroke," and it embodies "the shape of intersected strokes." As shapes made by crossing strokes being understood as characters, it signified 'letter(s)' and characters gathered to make a sentence, a piece of writing. In China, 'writing' is not simply a document or a piece of literature. It is a sublime medium which contains the principles and the Way 道 humans shall follow, and thus it is considered to be a sacred guideline written by the wise on what truth is. Therefore, reading was not a stepping stone toward becoming a good writer but to become a noble and wise person who is able to practice the reason of humanity. This is why learned people were admired as being great, and they were the literati who would eventually become politicians and leaders ruling the world. What literary people should do is precisely to make a brighter world worth living in by imbuing our minds with such spirit of humanities that can change the world for the better. This must be the profound significance which the words such as humanities 人文, literary people 文人, civil governance 文治, and civilization 文明 have attempted to contain.

The Oracle bone script discovered in 1899 for the first time helped us understand the earlier images of Chinese characters more precisely. In the script the character 文 was expressed as  it was not simply the shape of intersecting strokes, but a sort of 'tattoo' on a human body. The outer frame  depicted the frontal human body, and the  ×·∨·∧·pattern in the middle was engraved in the chest area. What would these tattoos on the human body mean? Were they inscribed on a live person or a dead body?

According to the various archaeological, anthropological, and literary sources that have been examined so far, this tattoo was inscribed on dead people. It was also said to have been inscribed on the corpse of natural death, not of accidental death. This is believed to be none other than the tattoos for the bleeding ceremony. So what is this ritual? The ancient Chinese believed that the separation of the soul from the body was death, and through bleeding the soul escapes the body and death finally comes upon the body. They were probably led to think this way due to most accidental deaths in the primitive hunting days being caused by bloodshed because of accidents or attacks by beasts. But what should be done in the case of natural death without any bloodshed? Artificial measures were required to free the soul from the body, and this was accomplished by cutting skin on the chest. This is the origin of the character 文. When the corpse would not bleed due to time overrun, they would paint red on the body or scatter earth mixed with cinnabar around the body to symbolize the escape of the soul, as the substitute for real blood. In the Oracle bone script, the character死 for death  has variable forms , which show such scattered objects around the dead body reflecting such symbolic rituals.

As shown, the origin of '文' begins with a 'cut(tattoo)' on the corpse which was a measure to separate the soul from the body. This is how the meaning of 'shape/pattern' was born and when strokes were criss-crossed to create patterns they became letters 文字. Henceforth, the letters formed sentences 文章, then literature 文學 and humanities 人文 were added, and since modern times, the words culture 文化 and civilization 文明 were coined. The character 'pattern 紋' was made by adding 糸(character for thread, silk), since the shape created when weaving cloth must have been considered the most common.

That being said, 文 was literally the door through which the soul escapes the body. So the letter itself is imbued with the 'human soul' from the beginning. It is not a simple pattern or letter but a bridge connecting the mind and body; it is the trace of human spirit. Thus humanities would mean culture including all human aspects, and literature would signify 'study of humans' and not simply an 'artistic act of expressing thoughts or feelings through language.' And the term 'literary person' did not refer to a writer per se. 'Culture(文化)' initially meant 'to move the world in a good direction with the mind of humanities'. In this sense, the character 文 goes beyond sentence文章 or rhetorical style 文飾 in China, it is rather the 'mind' itself that corresponds to 'literary heart 文心,' and humanities 人文 lie in its core meaning.

Egyptian Sacred Script

3.
China is a country of letters(文), and the East is a civilization which strived on the basis of Chinese characters, the exemplar ideogram in human history. As they are mainly expressing meanings, the characters hold ideas. Among ways of human expression, language and letters are the main ways, and spoken language is auditive whereas letters are visual. Letters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types: characters with only phonetic value and characters with meaning. The English alphabet and Hangul are representative of the former, and Chinese characters are representative of the latter. Sumerian cuneiform script, Egyptian sacred script, and Mesoamerican Olmec-Mayan script were also ideograms at first, but later on they lost their meaning and hitherto displayed only phonetic nature.

Due to such features and role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would mostly be interested in 'letters' instead of spoken language. Their studies would rather focus on the essenc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colloquial language.' They would even think that letters were the sole truthful notion, and that letters were more important than spoken language. Such a cultural feature could be dubbed 'letter-centrism' which would be the exact opposite of Jacques Derrida's 'logocentrism' which describes the Western culture putting 'speech' as more truthful and important opposed to 'writing.'

Since the beginning of time, the West had always deemed spoken language more important than letters. As the first verse of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John 1:1) says,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word' in Greek, is both logos and 'reason.' These 'words' were the only medium to convey the truth. Plato also believed that spoken words were closer to linguistic truth than written texts. Thus letters were deemed unreliable, better to be banished. Whereas 'language' spoken face-to-face cannot be false, 'letters' could be forg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being recorded and transmitted. The spoken words were the truth. Therefore, 'logos' means 'voice,' 'truth', and 'reason.' The 'words' that contained the soul were 'truth,' and that was the beginning of 'rational thinking.' The phonocentric tradition of spoken language always gaining the upper hand over writing had developed into a logic of superiority-inferiority as the West began to dominate the world in modern times. Jean Jacques Rousseau said, "Signs of words and of propositions are appropriate to a barbaric people; and the alphabet to civilized people." Georg W. F. Hegel conceptualized the alphabet as the most developed intelligent character. Furthermore, this tradition continued onto Ferdinand de Saussure, the godfather of modern linguistics. He considered writing to be irrelevant to the internal organization of language, so he limited the subject of linguistics to 'spoken words' and excluded 'writing.' He also defined writing as a secondary means of recording speech. Thus, the letter-centric East was denigrated as a savage civilization, and Chinese characters as low-level characters.

Speaking, 言

4.
People have long considered that the Western 'speech' corresponds to '言' in Chinese character, and 'letter' corresponds to '文.' But this is merely the result of an overly superficial and simple approach. In fact, it is the opposite. 'Speech' in the Western context which stands for logos, that is, the truth, rather corresponds to 文 in Chinese character and 'letter' which is the symbol of forgery and object of expulsion is surprisingly, 言.

Etymologically speaking, '言' is intimately linked with 'sound 音'과 'tongue 舌,' and it is a commonly used, very significant character which creates numerous other characters. Even so, its etymology is not fully known until now so there remains room for diverse interpretation. Also in the aforementioned dictionary Shuowen Jiezi, it is simply explained that "speaking is 言, and discussing and defending are語," without any further note on the concrete etymology of '言.' Afterward, Zheng Qiao(鄭樵) of Song Dynasty explained it as depicting the human 'tongue' but when referring to its Oracle bone script images such as  it is not convincing enough. Therefore contemporary scholars tend to allege that it is the depiction of musical instruments like tungso, saenghwang(reed pipe instrument), trumpet, or bell. There is also another line of contention that it is a sword and its container which were used to punish those who have failed to keep their pledge to God.

When you closely observe the shape of these letters, 言, is composed of '䇂' or '辛,' and '口.' 䇂 or 辛 depicts the pipe made of bamboo. The upper part of the letter has a bell opening which lets out the sound, the lower part has the letter 口(mouth) to portray the mouthpiece for the instrument. Or else it could be the musician's 'mouth.' The two slant strokes coming out sideways seem to be small branches of bamboo(竹). So the original meaning of 言 would be 'tungso' made of bamboo, and it indicates the 'sound' made by the instrument. Since then, the meaning expanded into including the human sound, that is, 'words.' Adding the character for bamboo(竹) on top of it, the character for big tungso was born: 䇾.

That is to say that the character 言 does not originate from human words but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the simple 'sound' of an object, irrelevant to man or human soul. Moreover the majority of Chinese characters with 言 as a component would signify negative ideas, for example, 譌 or 訛 means 'false,' 變 means 'change,' 誘 means 'coax,' 詐 means 'deceive,' 謊 means 'absurd,' 諛 means 'flatter,' 誇 means 'exaggerate,' 詛 means 'curse,' 誹 means 'slander.' This shows a sharp contrast with the character 文 which begins its story with the human soul, and other characters using this character as its component are all positive. This is why in the East, '言' is not about the contemplation of the soul's nature. It is variable and so, an unreliable 'voice/sound.' Such feature of '言' would only depend on the sound emitted by the vocal organ, not being able to convey the soul's knowledge. It was considered as the medium by which we become oblivious of the substance of wisdom.

To conclude our story, 'speech/words' which the West had recognized as logos, as their ultimate representation of human reason, correspond to the Chinese character 文, not 言. To the contrary, 'letters' which were considered as ever-changing as time passes, variable since their function would not be maintained when the space changes, correspond to 言, not 文. Therefore, if the West's speech and logos are the way of truth, their corresponding peer in Chinese character would be letter, 文. Both 'logos' and 文 are related to the human soul, and they are conveyors of the soul and that is why they have become the core of respective civilization. This leads to the idea that 'logocentrism' and 'letter-centrism' are not entirely separate. They are named differently, but essentially they are the same.

Sumerian Cuneiform Script
Mesoamerican Olmec-Mayan script

1.
한자에서 문(文)은 매우 중요한 글자이다. 문(文)이라는 글자는 인문(人文)과 천문(天文), 문화(文化)와 문명(文明), 그리고 문인(文人)과 문치(文治)라는 단어에 포함되는데, 이들은 모두 인간사에 있어 중요한 개념들을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인문(人文)을 '사람과 문물'이라고 사전에서 풀이하지만 천문(天文)이 '천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말하는 것임을 생각하면 인문은 '인간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뜻한다. 그래서 '인문학'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는 모든 일, 즉 인간 세상의 모든 이치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것이다. 대학에서 인문학이 단과대학의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하게 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근대에 만들어진 번역어긴 하지만 '개간하다'는 어원을 가진 'culture'를 문화(文化)로, '도시인이 되다'는 뜻을 가진 'civilization'을 문명(文明)으로 번역하였다. 문화(文化)는 글자대로 푼다면 '인문정신으로 온 세상을 교화하다'라는 뜻이 되고, 문명(文明)은 '인문정신으로 세상을 밝히다'가 될 것이다. 동양에서는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을 문인(文人),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한 다스림을 문치(文治)라고 했다.

이처럼 문(文)은 숭고한 글자다. 문신(文身)에서 출발한 문(文)이 문자(文字)와 문장(文章)과 문예(文藝)를 거쳐 인문(人文)에까지 이르렀다. 어떤 요소가 문(文)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Oracle bone script

2.
서기 100년에 완성된 중국 최고의 어원사전인 설문해자에서는 문(文)을 "획을 교차시키다는 뜻이며, 교차한 무늬를 형상했다."라고 했다. 획을 교차시킨 '무늬'를 '문(文)'의 원래 뜻으로 본 것이다. 이후 무늬를 새기듯 획을 교차시켜 만든 것이 글자라는 의미에서 '문자'를 뜻하게 되었고, 글자는 모여서 문장이 되고 글이 된다. 중국에서 '글'은 단순히 문서나 문학 작품이 아니다. 인간이 걸어야 할 이치와 도(道)를 담아내는 숭고한 매체이고, 그런 삶을 살도록 이끄는 성현의 진리를 담은 성스러운 것이다. 그래서 글을 읽는 것은 훌륭한 문학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도를 실천하는 군자가 되고 성현이 되고자 함이었다. 이 때문에 글을 많이 읽은 사람이 위대한 존재로 존중되었고, 그런 사람이 문인(文人)이고, 세상을 다스리는 정치가와 지도자가 되었다. 문인(文人)이 해야 할 일은 바로 그런 인문정신으로 세상을 교화하고 살맛나는 밝은 세상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이것이 인문(人文)과 문인(文人), 문치(文治)와 문화(文化)와 문명(文明)이라는 단어가 담고자 했던 심층적 의미일 것이다.

1899년 세상에 처음 알려진 갑골문은 한자의 초기 모습을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해주었다. 갑골문에서는 문(文)을 등으로 적었는데, 단순히 획이 교차한 무늬가 아니라 사람의 몸에 새겨진 '문신'이다. 바깥의  은 사람의 정면 모습이고, 중간의 ×・∨・∧・ 등은 가슴팍에 새겨진 무늬이다. 그렇다면 사람의 몸통에 새겨진 이 문신의 정체는 무엇일까? 산사람에 새긴 문신일까? 아니면 죽은 사람에 새긴 것일까?

지금까지 조사된 여러 고고학, 인류학, 문헌 자료 등을 종합해 볼 때, 이 문신은 죽은 사람에게 새긴 것이다. 그것도 사고사가 아니라 자연사한 사람의 시신에다 새긴 것이다. 이는 다름 아닌 피 흘림 의식을 위한 문신으로 추정된다. 피 흘림 의식이란 또 무엇일까? 고대 중국인들은 영혼이 육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죽음이라 여겼는데, 피 흘림을 통해 영혼이 육체에서 분리되어 밖으로 나와 죽음에 이른다고 생각했다. 원시 수렵 시절, 사고나 야수의 습격 등으로 피를 흘려 죽은 사고사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피를 흘리지 않고 죽는 자연사의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영혼이 육체에서 분리되도록 피를 흐르게 할 인위적인 조치가 필요했고, 가슴팍에 칼집을 냄으로써 이를 실현했다. 이것이 문(文)의 어원이다. 혹시라도 시간이 많이 지나 피가 나오지 않을 때는 붉은 염료를 몸에 칠하거나 주사(朱砂) 등을 섞어 뭉친 흙을 시신 주위에 뿌리는 상징적 행위로 이를 대신했다. 갑골문에서 사(死,)의 이체자(,)에서 시신 곁에 그려진 점들은 이를 반영했다.

이처럼, '문(文)'의 출발은 시신에 새겨진 '칼집(문신)'이고, 이는 영혼을 육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이로부터 '무늬'라는 뜻이 생겼고, 획을 무늬처럼 교차시켜 만든 것이 글자라는 뜻에서 문자(文字)를 뜻하게 되었다. 다시, 글자로 구성된 문장(文章), 나아가 문학(文學)과 인문(人文) 등의 뜻이 나왔고, 근대 이후에는 문화(文化)와 문명(文明)이라는 단어까지 만들었다. 그러자 원래의 '무늬'라는 뜻은 멱(糸)을 더해 문(紋)으로 분화했는데, 비단(糸)을 짤 때의 '무늬(文)'가 가장 보편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문(文)은 영혼이 육체로부터 빠져나가는 문(門)이었다. 이 때문에 문(文)은 출발부터 '인간의 영혼'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래서 문(文)은 단순히 무늬나 글자가 아니라 정신과 육체를 연결하는 교량이며, 인간 정신의 흔적이다. 따라서 인문(人文)은 인류의 모든 정신을 포함하는 문화라는 뜻이며, 문학(文學)은 '인간학'이었지 'literature'의 번역의미인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예술 행위'가 아니었고, 문인(文人)도 문학가를 지칭하는 말이 아니었다. 문화(文化)도 'culture'라는 번역 의미 이전에는 '인문정신으로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다'는 뜻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문(文)은 중국에서 문장(文章)'이나 문식(文飾)을 넘어서 '문심(文心)'에 해당하는 '정신' 그 자체이며, 인문(人文)이 그 근원적 핵심적 의미이다.

Evolution of Cuneiform, Egyptian and Chinese Characters

3.
중국은 문(文)의 나라이고, 동양은 한자를 기반으로 성장한 문명이다. 한자는 인류의 가장 대표적인 표의문자이다. 즉 의미 중심의 문자로, 글자 속에 뜻을 담고 있다. 인간의 의사를 표현해 내는 방법에는 크게 말과 문자가 있는데, 말은 청각 체계이고 문자는 시각 체계이다. 문자는 다시 음가만 가지는 문자와 의미를 담은 문자의 둘로 나뉜다. 영어 알파벳과 한글이 전자의 대표이고, 한자가 후자의 대표이다. 물론 수메르의 설형문자나 이집트의 신성 문자나 메소아메리카의 올멕-마야 문자도 처음에는 표의 문자였으나 이후 의미 기능을 상실하고 음가만 표시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한자의 이러한 속성과 역할 때문에 중국인들은 줄곧 그들의 관심을 '말'이 아닌 '문자(文字)'에 두었다. 그들의 연구도 '구어'가 아닌 한자의 본질과 기능 및 관련 특성들에 집중되었다. 심지어 문자만이 진실한 개념이라고 생각해왔으며, 심지어 문자가 말에 우선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문명적 특징은 '말'이 '문자'보다 더 진실하고 우선한다는 서구를 '음성중심주의(logos-centrism)'라 칭했던 데리다(Jacques Derrida)의 개념과 잘 짝을 이루어, '문자중심주의'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서구는 출발부터 문자보다는 말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태초에 말씀이 계셨나니, 그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라고 한 성경의 첫 구절처럼, '말씀'은 그리스어에서 로고스(logos)인 동시에 '이성'이기도 하다. 이러한 '말씀'이 진리를 전달하는 유일한 매체였다. 플라톤(Plato)도 음성으로 표현된 말이 글로 된 문자보다도 언어적 진실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 이에 반해 문자는 추방되어야 할 대상으로 지목됐다. 대면하여 직접 발화되는 '말'은 거짓이 있을 수 없지만, 기록되고 전달되는 과정에서 위조되고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문자'이기에 추방의 대상이었다. 말이 바로 진리였던 것이다. 그래서 '로고스'는 '음성'을 뜻하기도 하고, '진리'를 뜻하기도 하며, '이성(理性)'이라는 뜻도 담고 있다. 영혼을 담은 '말'이 '진리'였고, 그것이 '이성적 사유'의 출발이었던 것이다.

문자에 대해 언제나 우위적인 특권을 점유했던 말, 이러한 음성중심주의 전통은 근대에 들어 서구가 세계를 지배하면서 우열 논리로 발전한다. 루소(Jean Jacques Rousseau)는 "낱말과 명제를 기호로 표시하는 일은 미개한 민족에게 적합하고, 알파벳 문자는 개화된 민족에게 적합하다."라고 했는가 하면, 헤겔(Georg W. F. Hegel)도 알파벳 문자를 가장 발전한 지적인 문자로 개념화했다. 나아가 현대 언어학의 대부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에게도 이러한 전통은 그대로 이어졌다. 그는 문자를 언어의 내적 조직과 무관한 것으로 여겨 언어학의 대상을 '말'에 한정하고 '문자'는 배제했다. 또 문자를 말을 기록하기 위한 부차적 수단으로 정의했다. 그리하여 문자중심의 동양은 미개한 문명으로, 한자는 저급한 문자로 폄하되었다.

Raffaello Sanzio, La escuela de Atenas

4.
사람들은 서구의 '말'이 한자에서 '언(言)'이고, '문자'가 '문(文)'에 해당한다 생각해 왔다. 그러나 이는 너무나 표피적이고 단순한 접근의 결과이다. 사실은 거꾸로다. 서구에서 로고스 즉 진리에 해당하는 '말'이 한자에서는 도리어 문(文)이고, 위조의 상징이자 추방의 대상이었던 '문자'가 오히려 언(言)이다.

'언(言)'은 '음(音)'과 '설(舌)' 등과 어원적으로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 많은 단어를 만들어내는 매우 중요한 상용자이다. 그럼에도 이의 어원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아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설문해자에서도 "그저 말하는 것을 언(言)이라 하고 논란을 벌여 변론하는 것을 어(語)라 한다."라고만 하였을 뿐, '언(言)'의 구체적인 어원을 밝히지 못했다. 이후, 송나라 때의 정초(鄭樵)는 사람의 '혀'를 그렸다고 했지만, 갑골문의 자형인  등을 보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현대 학자들은 퉁소, 생황, 나팔, 종 등 악기를 그렸다고 했다. 물론 신에 대한 맹세 때 위약에 대한 처벌의 상징으로서의 형벌 칼과 그것을 넣어 두는 그릇을 그렸다는 주장도 있다.

자형을 자세히 살펴보면, 언(言,)은 '건(䇂)'이나 '신(辛, )'과 '구(口)'로 구성되었다. 건(䇂)이나 신(辛)은 대나무를 깎아 만든 피리를 그렸다. 위쪽은 확음통(擴音筒)을 그렸으며, 맨 아래쪽의 구(口)는 피리나 퉁소 등 악기의 입(reed)을 상징했다. 혹은 악기를 부는 사람의 '입'일 수도 있다. 간혹 양쪽에 든 비스듬한 두 획은 대(竹)의 잔가지로 추정된다. 그래서 언(言)은 대로 만든 '퉁소'가 원래 뜻이고, 악기에서 나는 '소리'를 뜻했다. 이후 의미가 확장되어 사람의 소리 즉 '말'까지 뜻하게 되자, 원래 뜻은 죽(竹)을 더해 언(䇾: 큰 퉁소)으로 분화했다.

다시 말해 언(言)은 그 출발이 사람의 말이 아닌 악기의 '소리'이다. 즉 사물의 소리, 사람과는 관계없는, 인간의 영혼과 연계되지 않은 단순한 '소리'일 뿐이다. 게다가 한자에서 언(言)으로 구성된 글자들, 예컨대 와(譌)나 와(訛)는 '거짓'을, 변(變)은 '변함'을, 유(誘)는 '꼬드김'을, 사(詐)는 '속임'을, 황(謊)은 '황당함'을, 유(諛)는 '아첨'을, 과(誇)는 '과장함'을, 저(詛)는 '저주함'을, 비(誹)는 '헐뜯음'을 말하는 등 대부분 부정적 의미를 지향하고 있다. 출발부터 사람의 영혼과 관계되어 그로 구성된 글자들이 좋은 의미만을 지향하는 문(文)과는 선명한 대비를 이룬다. 그래서 동양에서 '언(言)'은 영혼의 본성에 대해 통찰하도록 하는 특징을 지닌 것이 아니라 가변적이고 그래서 믿을 수 없는 '성음(소리)'였다. 이러한 '언(言)'은 영혼 안의 지식을 전달하지 못하고, 발성 기관의 소리에만 의존하는 것으로서 오히려 지혜의 실체를 망각하는 매개로서 생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서구에서 인간 이성의 궁극적인 표상으로서 로고스로 삼았던 '말'은 한자에서 언(言)이 아니라 '문(文)'에 해당한다. 이와 반대로 시간이 흘러가면서 계속 변화하고 공간이 달라졌을 때 원래 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가변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던 '문자'는 문(文)이 아니라 '언(言)'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서구에서 말, 즉 로고스(logos)가 진리라면, 한자에서는 문자, 즉 문(文)이 그에 해당한다. 'logos'나 문(文)은 모두 인간의 영혼과 관련되어 있고, 영혼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문명의 핵심이 되었다. 그렇다면 '로고스 중심주의'나 '문자중심주의'가 별개의 것이 아니다. 이름만 다를 뿐 실체는 같다.

Youngsam Ha
Professor at Kyungsung University
Director of the Center for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하영삼
경성대학교 교수
한국 한자연구소 소장

29737_16536_4516

RELATED POSTS

The CLUMSY Plan
Address : 4Fl. 199 Itaewon-ro (Itaewon-dong) Yongsan-gu, Seoul
Inquiry : 02 – 723 – 2973, info@thomasparkgallery.com
이용약관  정기과금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