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oungsoo Cho
The Land’s Architecture 땅의 건축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땅의 건축 The Land’s Architecture Text by 조병수 Byoungsoo Cho Translation by 박상미 Mimi Park 좋은 건축은 자연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더 중요하게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돕는다. 우리의 환경을 더 의도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지구를 더 능동적이고 본능적으로 경험하도록 돕는다. ByoungSoo Cho, Earth…
Read MoreApple Box Object 사과상자 작업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사과상자 작업 Apple Box Objects Text by 조병수 ByoungSoo Cho Translation by 박상미 Mimi Park 사과상자 작업 나의 사과상자 작업(apple box objects)들은 오래전부터 내가 생각해오고 발전시켜온 것으로 지난 20년여의 건축 작업에서 꾸준히 시도 되어왔다. 이에 대한 나의 기본 생각이 아래의 “사과상자에 대한 나의…
Read More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2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02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2 Text by 조병수 Byoungsoo Cho Translation by 박상미 Mimi Park Byeongsan Seowon column, Byoungsoo Cho “막”은 미적 통일성이 아닌 각각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완성된다. 일본의 ‘와비사비’정신은 완전한 형태를 만든 후…
Read More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1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01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1 Text by 조병수 Byoungsoo Cho Translation by 박상미 Mimi Park 나는 항상 한국 건축의 정의, 핵심, 혹은 특징이 무엇인지 만족스럽게 설명하는 것에 대해 고민해왔다. 이는 한국 건축이 명확한 문화적 특징이나 예술적…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