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과 행복을 말한 철학자, 쇼펜하우어
Philosopher Who Spoke of Salvation and Happiness, Schopenhauer
Text by 홍성광 SeongKwang Hong
Translation by 송효정 Irene Song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Arthur Schopenhauer, 1788∼1860)는 근대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된 이성주의 철학에 정면으로 도전한 사상가이다. 쇼펜하우어는 주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1818)에서 프로이센의 국가철학자였던 헤겔로 대표되는 관념론과 이성 철학을 거부하고 세계를 이성이 아니라 의지에 의해 파악하면서 독특한 의지 철학을 주창한다. (헤겔의 이성과 쇼펜하우어의 의지의 대립은 동양 철학에 나타난 이理와 기氣의 대립을 생각나게 하는데, 쇼펜하우어의 의지란 삶의 목표에 따른 의도적인 행위와는 무관해서, ‘욕망,’ ‘힘' 또는 ‘에너지'가 더 나은 표현일지도 모른다.) 그의 글은 나중에 생 철학, 실존철학과 수많은 작가들, 그리고 프로이트와 융의 정신분석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쇼펜하우어의 의지는 플라톤 철학에서는 ‘이데아’, 칸트 철학에서는 ‘사물 자체’, 정신분석학에서는 ‘무의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비합리주의에 주목한 점에서 니체를 앞선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적 사상가로 평가받을 수 있다.
종래의 사상가들은 지성을 의지의 한 속성으로 간주하는 반면 쇼펜하우어와 니체는 지성을 의지에 종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지성이 제한적인 것이고 의지에 의해 생겨났으며, 이성 또한 두뇌 현상일 뿐이고, 의지의 제약을 받으며, 의지의 부산물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세계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성이 아니라 의지를 통해 다가가야 한다. 서양철학과 문학, 심리학 등의 지식계에서 쇼펜하우어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니체는 쇼펜하우어를 읽고 나서 철학자가 될 결심을 했고, 비트겐슈타인은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철학을 시작했으며, 아인슈타인도 쇼펜하우어의 영향을 받았다. 최근에 그의 전기나 평전이 나오면서 사정이 좀 나아지긴 하지만, 아직도 쇼펜하우어라는 이름은 그의 제자였던 니체에 비해 관심을 덜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괴팅엔 대학에 다니면서 플라톤과 칸트를 깊이 연구한 쇼펜하우어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헤르더의 제자인 동양학자 프리드리히 마이여 (Friedrich Majer)로부터 뒤페롱이 번역한 『우파니샤드』를 소개받아 읽음으로써 인도 철학의 세례를 받게 되었다. 그는 인도를 ‘가장 고대적이고 원시적인 지혜의 땅’이라고 보면서 브라만주의와 불교가 유럽에 들어와 기독교로 각색되었다고 생각했다. 그는 고대 인도의 가르침인 베단타 철학과 베다의 신비주의에 관해 알게 되었고, 베다 경전인 우파니샤드가 플라톤, 칸트와 더불어 쇼펜하우어의 철학 체계의 근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는 평생 『우파니샤드』 를 읽고 연구했으며, 이것은 그의 세계관의 굳건한 토대가 됐다. 1851년 그는 “이 책은 더없이 값지고 수준 높다. 지구상에서 내 삶의 위안이었고 내 죽음의 그것이 될 수 있을 것이다.”라며 그 책을 극찬했다. 그는 자신의 고유사상이 유럽이 아닌 미지의 땅에서 이미 확립되어 있다는 사실에 놀란다. 그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인식이 생기자마자 욕망은 사라져버렸다.”라는 『우파니샤드』의 구절을 인용하기도 한다. 어떤 욕망도 존재를 그만두고 사라졌을 때, 즉 욕망의 불이 꺼졌을 때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다는 것이다.
쇼펜하우어는 초판 머리말에서 자신의 ‘고유사상’이 칸트, 플라톤, 우파니샤드 사상이라는 세 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쇼펜하우어가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철학을 수립했는지, 아니면 불교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독창적으로 불교와 비슷한 사유체계에 이르렀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쇼펜하우어는 초판 머리말에서 자신의 ‘고유사상’이 칸트, 플라톤, 우파니샤드 사상이라는 세 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밝히면서, ‘베다’, ‘우파니샤드’, ‘산스크리트 문헌’, ‘고대 인도의 지혜’ 등을 언급하지만, 불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때 이미 불교와 유사한 세계관을 지닌 쇼펜하우어는 스스로를 ‘불교주의자’라고 여기고 있었다. 이 시기의 유럽에서는 불교 소개서가 극소수였고 단편적인 것들뿐이었다. 쇼펜하우어의 저서로 인해 당시의 지식인들이 인도에 열광하게 되었고, 아시아의 불교 서적들이 처음으로 유럽에 번역되기도 했다. 따라서 독일에 불교가 전파된 것은 쇼펜하우어의 영향으로 보는 데 무리가 없다.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제2판(1844년)이 간행될 무렵이 되자 불교가 유럽에 활발하게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제3판(1859년)에서는 불교에 대한 해박한 이해가 개진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제2판과 제3판 사이에 비로소 불교의 영향이 체계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쇼펜하우어는 제3판에서 불교를 다른 종교보다 훨씬 출중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불교 교리가 자신의 핵심 명제들을 확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불교를 서양의 형이상학에 대응하는 복안으로 보았고, 불교의 인식 노력을 개체의 정신적 고립을 돌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했으며, 자신의 철학과 불교의 가르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발견했다.
불교는 삶이란 본질적으로 무거운 짐이며, 쾌락과 만족보다 훨씬 더 많은 고통과 고뇌가 있다고 말한다. 모든 것이 덧없고 파괴될 운명에 처해 있는 세계에서 실제로는 영원한 만족이란 없는 것이다. 이처럼 불교와 쇼펜하우어의 유사한 점은 삶이 끝없는 의지, 노력, 희망, 추구, 집착, 갈망으로 이루어진다는 생각이다. 우리는 갓난아이일 때부터 항상 무언가를 원하고 무언가를 가지려고 손을 뻗어왔다. 그렇지만 한 가지 소원이 충족되면 또다른 소원이 그 자리를 차지하므로 이 끝없는 의지는 본질적으로 충족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는 ‘의지의 윤회’를 주장한 서양 최초의 불교 사상가로 꼽히기도 한다.
힌두교에서는 영속적인 실재는 비물질적이고 공간도 시간도 없는 초월적인 단일자 뿐으로, 비개인적이고 인식할 수 없으며 설명이 불가능한 것인데 비해, 우리의 신체 감각을 통해 인식되는 세계는 일시적인 현상의 스쳐 지나가는 쇼나 그림자놀이 같은 것, 마야의 베일이라고 말한다. 힌두교에서 발전해 나온 불교는 무시간적인 실재에서는 별개의 자아가 없고, 모든 존재가 통합되어 있으며, 각 개인의 고통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은 모두의 고통이고, 잘못된 행동은 그 행위자에게 고통을 입힌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종교적 인물들은 이 세계를 눈물의 골짜기로 보기는 하지만, 시공간의 저편에 존재하는 어떤 것에 대해서는 도덕적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취하고, 그것이 자비로운 것이라 말한다. 하지만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초월계와 현상계가 동일한 실재이므로, 초월계도 무언가 끔찍한 세계라는 결론을 내린다. 그는 초월계를 맹목적이고 목적도 없고 비개인적이며 도덕과는 무관한 힘이나 충동, 삶이나 생물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는 어떤 것으로 보았다. 알려질 수도 이해될 수도 없는 이 초월적 존재를 쇼펜하우어는 의지라고 불렀다. 우리가 삶과 세계에서 완전히 해방되려면 이 삶의 맹목적 의지, 존재하려는 의지를 극복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의지를 놓아버리는 것이 필요하다. (서양의 사상사 맥락에서는 그는 에크하르트 신비주의의 맥을 잇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자살은 오히려 적극적이고 격렬한 의지의 표명이므로 쇼펜하우어는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결코 자살을 옹호하지 않았다. 쇼펜하우어에 의하면 유일한 구원은 집착을 끊고 개입과 참여를 하지 않으며 맹목적인 삶에의 의지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유럽에서 최초로 불교를 철학적으로 심오하게 이해한 쇼펜하우어는 불교 철학을 유럽 지성계에 소개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또한 많은 유럽인들이 쇼펜하우어의 저서를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게 되었다. 그만큼 유럽의 불교 전파에 있어 쇼펜하우어가 미친 영향은 지대하며, 두 개의 문화적, 사상적, 철학적 역사를 가장 오래되고 "현명한" 방식으로 이은,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Title page of the expanded 1844 edition,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Cover Image: Arthur Schopenhauer ⓒGoogle Images
Arthur Schopenhauer (1788~1860) was a thinker who challenged rationalist philosophy that actively developed in modern times. Schopenhauer, in his first book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1818) rejects the idealism and rational philosophy purported by Hegel, Prussia's national philosopher. He advocated a unique philosophy that attempts to understand the world by will, rather than reason (the confrontation between Hegel's reason and Schopenhauer's will reminds me of the opposition between ideology 理 and spirit 氣 in Eastern philosophy, however Schopenhauer's will is independent of intentional acts motivated by life goals-- so “desire”, “power”, or “energy” may be more apt expressions). His writings later had a great influence on biological philosophy, existential philosophy, numerous writers, and the psychoanalysis of Freud and Jung. Schopenhauer's will is equivalent to "idea" in Plato's philosophy, the "thing-in-itself" in Kant's, and "the subconscious" in psychoanalysis. He may be regarded as a pioneer thinker of postmodernism, ahead of Nietzche in his focus on irrationalism.
Traditional thinkers regard intelligence as an attribute of will, whereas Schopenhauer and Nietzsche regard intelligence as subordinate to the will. In other words, intelligence is limited and a creation of will. Reason is also a phenomenon of the brain restricted by will, and is merely a by-product of will itself. Therefore, to grasp the essence of the world, one must approach it through will, not reason. Schopenhauer's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 world of Western philosophy, literature, and psychology is tremendous. Nietzsche decided to become a philosopher upon reading Schopenhauer's works; one finds Schopenhauer's trace in the early Wittgenstein; Einstein' discovery of the theory of relativity was influenced by Schopenhauer's view of the self and the world. Although things have improved a bit recently with the release of his biography and critical writings, Schopenhauer's name still seems to be receiving less attention than that of his disciple, Nietzsche.
After acquiring his doctorate degree, Schopenhauer, who studied Plato and Kant at the University of Göttingen, was first introduced to Indian philosophy upon reading Upanishad translated by Duferon, and written by Eastern philosophy scholar Friedrich Majer, who was a student of Herder. He regarded India as the “most ancient and primitive land of wisdom", and believed that Brahmanism and Buddhism were adapted into Christianity after entering Europe. He learned about the ancient Indian teachings of Vedanta philosophy and Vedic mysticism, and the Vedic scriptures of Upanishad formed the basis of Schopenhauer's philosophical system, along with Plato and Kant. He read and studied Upanishad his entire life, and it became the unwavering foundation of his worldview. In 1851, he praised the text, writing that "In the whole world there is no study so beneficial and so elevating as that of the Upanishads. It has been the solace of my life, it will be the solace of my death." He was surprised that his personal idea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unfamiliar lands beyond Europe. He also quotes a phrase from Upanishad in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As soon as awareness formed, desire disappeared." When any desire ceases to exist and disappears, that is, when the light of desire is extinguished, true enlightenment is achieved.
Schopenhauer stated in his first edition that his "uniqueness" is based on three axes: Kant, Plato and the Upanishad.
It is debatable whether Schopenhauer established his philosophy based on Buddhist thought, or whether he had arrived at a theory similar to Buddhism unintentionally. Schopenhauer stated in his first edition that his "uniqueness" is based on three axes: Kant, Plato and the Upanishad, referring to "veda”, Upanishad, “Sanskrit literature”, and “the wisdom of ancient India”, but did not mention Buddhism. Nevertheless, Schopenhauer, who already held a similar worldview to Buddhism, regarded himself as a "Buddhist". In Europe during this time, there were very few introductions to Buddhism, merely existing as fragmentary knowledge. Schopenhauer's work enthused intellectuals over India during this period, and Buddhist books were translated in Europe for the first time. Thus, it is not far-fetched to claim that the spread of Buddhism in Germany is indebted to Schopenhauer. Buddhism began to be actively introduced to Europe by the time the second edition of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1844) was published. In the third edition (1859), a widespread understanding of Buddhism was being developed, and it appears that the influence of Buddhism was systematically reflec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editions. Schopenhauer evaluated Buddhism as far superior to other religions in the third edition, saying that Buddhist doctrine helped establish his core propositions. He considered Buddhism to be a response to Western metaphysics, interpreted Buddhist awareness efforts as a means to break through the spiritual isolation of individuals, and discovered that his philosophy and teachings of Buddhism were all interconnected.
Buddhism says life is essentially a heavy burden, mainly consisting of pain and anguish.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s ephemeral and doomed to destruction, there is no such thing as eternal satisfaction. The similarity between Buddhism and Schopenhauer as such is this idea that life is made up of endless will, effort, hope, pursuit, obsession, and longing. Since infancy, we have always desired and reached out towards something. However, if one wish is granted, another falls into its place, so this endless will fundamentally cannot be satisfied. In this regard, he is considered the first Buddhist thinker in the West to claim a “samsara of will”.
Hinduism claims that the only enduring reality is transcendent, non-material, timeless, spaceless, and inexplicable, whereas the world perceived by our bodily senses is a Mayan veil, like a show or shadow play of temporary phenomena. Buddhism, which was developed from Hinduism, says that in timeless reality there is no separate self, all beings are united, what appears to be each individual's pain is in fact everyone's, and wrong behavior causes pain to the perpetrator.
Religious figures generally view the world as a valley of tears, but they take a morally positive stance on something that exists beyond time and space, and call it merciful. However, Schopenhauer's philosophy is that the transcendental realm and the phenomenal realm are the same, so he concludes that the transcendental realm is also quite a terrible world. He saw it as something that was blind, aimless, impersonal, and unrelated to morality, and had no interest in strength, impulse, life, or living things whatsoever. Schopenhauer called this transcendent entity, neither known nor understood, will. If we are to be fully liberated from life and the world, we must overcome the blind will of this life, the will to exist, and in order to do this it is imperative to let go of the will. (In the context of Western thought, his idea can also be considered as continuing Eckhart mysticism.) However, Schopenhauer never defended suicide, as suicide was an expression of active and violent will. According to Schopenhauer, the only salvation is to break obsession, refrain from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and deny the will to live a blind life.
Schopenhauer, who first profoundly and philosophically understood Buddhism in Europe, is credited with introducing Buddhist philosophy to the European intellectual community. Many Europeans also learned about Buddha's teachings through Schopenhauer's books. Schopenhauer's impact on European Buddhism is significant; he is a pioneer in bridging two cultural, metaphysical, philosophical histories in the "wisest" way.
홍성광 SeongKwang Hong
번역가 Translator
서울대 독문과 졸, 문학박사, 번역작가 및 에세이 작가
저서로 『독일 명작 기행』, 『글 읽기와 길 잃기』,
역서로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책 읽기와 글쓰기』, 니체의 『니체의 지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도덕의 계보학』,
토마스 만의 정치 에세이 『예술과 정치』, 『마의 산』(상·하)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상·하) 등.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