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by kookhwang
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2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02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2 Text by 조병수 Byoungsoo Cho Translation by 박상미 Mimi Park Byeongsan Seowon column, Byoungsoo Cho “막”은 미적 통일성이 아닌 각각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완성된다. 일본의 ‘와비사비’정신은 완전한 형태를 만든 후…
Read MoreFaraway 멀리 있는 땅, 멀리 있는 여자 by Mimi Park 박상미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Cover Image: 2016 Georgia O’Keeffe Museum/DACS, London 멀리 있는 땅, 멀리 있는 여자 Faraway Text by 박상미 Mimi Park Translation by 김솔하 Solha Kim 산타페를 벗어나 북쪽으로 갈수록 땅이 붉게 변했다. 조지아 오키프가 살던 고스트랜치와 애비큐에 올라가는 길이었다. 땅의 색깔이 이렇게 선정적일 수 있나…
Read MoreBetween Umber and Ultramarine : At the Exhibition of Yun Hyong Keun 윤형근의 전시장에서
Looking back, there were two moments, which became the seeds of this book. One of the moments occurred while I was traveling in Italy. After attending a summer art program, I had a week to travel. Friends said I should go to Venice, but instead I went to Ischia, one of the islands in the Bay of Naples. I was reading Barthes’ book of essays..
Read MorePhilosopher Who Spoke of Salvation and Happiness, Schopenhauer 구원과 행복을 말한 철학자, 쇼펜하우어 by SeongKwang Hong 홍성광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구원과 행복을 말한 철학자, 쇼펜하우어 Philosopher Who Spoke of Salvation and Happiness, Schopenhauer Text by 홍성광 SeongKwang Hong Translation by 송효정 Irene Song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Arthur Schopenhauer, 1788∼1860)는 근대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된 이성주의 철학에 정면으로 도전한 사상가이다. 쇼펜하우어는 주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Die Welt als…
Read MoreFrom Hydra to Cold Mountain 히드라에서 한산까지
Looking back, there were two moments, which became the seeds of this book. One of the moments occurred while I was traveling in Italy. After attending a summer art program, I had a week to travel. Friends said I should go to Venice, but instead I went to Ischia, one of the islands in the Bay of Naples. I was reading Barthes’ book of essays..
Read MoreThe World of Mahk 건축가 조병수 : 막의 세계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Cover Image: The Ground Interview (ⓒKook) The World of Mahk Interview with 조병수 Byoungsoo Cho by 박선영 Sunyoung Park “막은 장식을 위한 장식을 포함하여, 실질적임과 진솔함을 가로막는 모든 것에 대한 단호한 거절의 제스처이다.” “Mahk is an unapologetic rejection of refinement for the sake of…
Read More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1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01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한국의 미학과 막의 정체성 Korean Aesthetics and the Identity of Mahk 01 Text by 조병수 Byoungsoo Cho Translation by 박상미 Mimi Park 나는 항상 한국 건축의 정의, 핵심, 혹은 특징이 무엇인지 만족스럽게 설명하는 것에 대해 고민해왔다. 이는 한국 건축이 명확한 문화적 특징이나 예술적…
Read MoreA Movement of Movements 무브먼트를 향한 무브먼트 By Clumsy 클럼지
CLUMSY ABOUT READ SHOP SEARCH Login EN INSTAGRAM THOMASPARK CLUMSY ABOUTREADSHOPSEARCHLogin ENINSTAGRAMTHOMASPARK 무브먼트를 향한 무브먼트 A Movement of Movements Text by 클럼지 Clumsy Translation by 김솔하 Solha Kim 무브먼트를 향한 무브먼트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다른 포유류와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 직립보행이다. 무엇이 인간의 조상을 처음으로 직립하여 걷게 했는가에 대해선 아직도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Read More